-
흙막이 지지공법 종류 및 특징 쉽게!건축/건축 정보 2022. 1. 24. 23:23반응형
안녕하십니까? MARV입니다.
오늘은 흙막이 지지 공법 종류 및 특징에 대해서 서술하려고 합니다. 저번에는 벽체 공법이었다면 이번에는 지지 공법입니다. 흙막이 벽체를 어떻게 지지하느냐의 방식인데, 아래 내용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개요
흙막이 지지공법은 크게 3가지 종류가 있는데, 대지의 여건이나 건물의 형태에 따라서 적정한 공법이 다릅니다. 모든 대지의 상황은 다르기 때문에 전문가의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지만, 일반적인 사항을 서술하여 흙막이 지지 공법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흙막이 지지공법의 종류 및 특징
1) EARTH ANCHOR 공법
반응형어스앵커 사진 (1) 어스앵커 공법의 개요
굴착하고자 하는 부지 주변에 흙막이 토류벽을 설치한 후 띠장과 배면 지반에 앵커를 시공하면서 굴착하는 공법입니다.
(2) 적용 조건
- 굴착면적이 넓을 때
- 양호한 정착 지반이 있어 앵커체 고정이 쉬울 때
- 지하수위가 높지 않을 때
- 현장 외부 용지에 여유가 있을 때
(3) 어스앵커의 장점
- 부분 굴착시공이 가능하므로 공구분할이 용이합니다.
- STRUT에 비해 작업공간이 넓어 공기가 빠르고 현장 활용성이 좋습니다.
- 평면의 형상이 복잡해도 시공이 가능합니다.
(4) 어스앵커의 단점
-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인장력이 저하되므로 시공 시 공사기간을 감안하여야 합니다.
- 천공 시 지하수 유입에 의한 침하 우려가 있습니다.
- 어스앵커 설치시 인접 용지 지하 사용 동의가 필요합니다.
- 주변의 지하구조물이나 매설물이 있을 경우 시공이 불가합니다.
2) Slab 지지 (역타) 공법
역타공법 사진(우측 상부) (1) 역타 공법의 개요
지중연속벽과 기둥을 지중에 먼저 시공한 후 지하층 슬라브를 상층부로부터 하부로 시공하여 이를 지지구조물로써 활용하는 공법입니다.
(2) 역타 공법의 적용 조건
- 굴착 면적이 넓을 때
- 부지의 형상이 비정형일 때
- 도심지 공사로 소음/진동을 경감하고자 할 때
(3) 역타 공법의 장점
- 흙막이 지지 안정성이 높습니다.
- 인접 구조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공사기간 절감이 가능합니다.
(4) 역타 공법의 단점
- 건축구조 설계 및 흙막이 벽체 설계가 동시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 엄격한 품질관리 및 복합적인 공정관리가 요구됩니다.
- 경사로 및 오프닝 구간에 가설 구조체가 필요합니다.
3) Strut / Raker 공법
역레이커 공법 (1) 스트러트 레이커 공법의 개요
흙막이벽체 시공 및 필요한 위치에 중간 말뚝 설치 후 단계별 굴착하면서 띠장 및 버팀대를 설치하고 필요시 버팀보에 선행 하중을 가하면서 굴착하는 공법입니다.
(2) Strut / Raker 공법의 적용조건
- 굴착 규모가 중규모 이하로써 평면 형상이 사각형일 때 적용
- 외부 용지의 여유가 없을 때
- 인접지에 대해 앵커 시공이 불가한 경우 적용
(3) Strut / Raker 공법의 장점
- 시공 후 보강이 용이합니다.
- 비교적 변형이나 파괴를 조기에 판별할 수 있습니다.
(4) Strut / Raker 공법의 단점
- 굴착 면적이 크면 버팀대의 자체의 비틀림, 이음 부분의 좌굴 우려가 있습니다.
- 주변 지반침하 발생 우려가 있습니다.
- 굴착 평면의 크기의 제한을 받습니다.
3. 결론
흙막이 지지 공법은 크게 3가지 공법이 있지만 사용 가능하다면 어스앵커 공법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가격이 싸기 때문에) 아니면, 도심지 공사로 인해 역타공법을 쓰기도 하는데, 역타공법은 Strut / Raker 공법을 병행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두루 쓰인다 보면 되고, 상황에 맞는 공법 적용이 중요하다 판단합니다.
반응형'건축 > 건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계산서 분석] ② 건설공사 원가계산서 항목 분석 (0) 2022.07.15 [원가계산서 분석] ① 건설공사 원가계산서 개론 (0) 2022.07.10 흙막이 벽체 공법 종류 및 특징 쉽게! (0) 2022.01.18 굴착 공법 종류와 장단점 비교 쉽게! (0) 2021.12.06 흙막이 공법 최적화를 위한 검토사항 쉽게! (0) 2021.12.05